분류 전체보기38 로저스의 심리치료[인간중심]의 이론은? 로저스 심리치료[인간중심]의 이론은? 로저스 심리치료 이론의 발달은 상담자로서의 경험과 동료들과의 상호작용 및 치료 과정에 대해 그가 수행했던 연구의 결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는 사람들이 자기 경험과 성장을 좀 더 알아차리게 되어 일치되고 자기 수용적인 인간이 되도록 도와주는 것을 치료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믿었다. 평가는 치료 과정의 일부로 간주하며, 개인의 현재 알아차림과 경험하기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다. 심리적 변화는 진솔하고 수용적이며 공감적인 관계, 특히 내담자가 그렇게 지각하는 관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내담자와 상담자가 이런 치료적 과정을 어떻게 경험하는지는 성격 변화에 대한 로저스의 심리치료 개념화의 한 부분을 이룬다. 심리치료 목표 심리치료 목표는 상담자가 아니라 내담자에게서 나온다... 2022. 10. 26. 로저스의 인간중심 성격 이론을 이용한 개념화 인간중심 성격 이론을 이용한 개념화란? 심리적 발달 인간은 출생 이후부터 내적 경험과 외적 경험의 측면에서 현상을 경험한다고 한다. 사람들은 제각기 생물학적으로 그리고 심리학적으로 독특하며, 환경의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측면을 경험한다. 유아는 발달하면서 쾌와 불쾌의 정도의 관점에서 그들의 환경을 점검한다. 따뜻함과 배고픔 같은 다양한 신체감각도 분별해간다. 이런 과정을 부모가 방해하면(예를 들어 배고프지 않는데도 아이에게 먹기를 강요하듯이) 아이는 `유기체적 감지 능력` 혹은 환경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신뢰하는 능력을 발달시키는 데 어려움을 갖게 될 수도 있다. 아이들이 자신에 대한 인식을 하게 되면 주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존중을 받고 싶은 욕구가 생긴다. 아이들이 자라면서 자신의 신체적 욕구를 좀.. 2022. 10. 25. 인간 중심 치료의 역사 두 번째. 인간 중심 치료 이론의 발전에 중요한 개념은 자아실현이다. 자아실현은 Kurt Goldstein에 의해 창안된 개념으로서, 사람들은 건강한 발달을 추구하고 그것을 달성할 능력이 있으며, 이런 발달은 자신에 대한 충분한 표현으로 이어진다는 의미가 있다. Goldstein의 저작은 Abraham Maslow에 의해 더 진전되었고, 그는 이후 인본주의 심리학을 발전시켰다. Maslow는 상담자가 아니었기에, `정상적인` 사람들의 욕구와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사랑과 창의성 및 `절정 경험`, 즉 개인이 완전한 이완을 느끼거나, 좀 더 보편적으로는 강렬한 흥분을 느끼는 상태에 관해 기술하였다. Maslow는 자유와 합리성 및 주관성을 포함한 사람됨의 중요한 측면을 강조하였다. Maslow는 인간의 욕구에 관한 서.. 2022. 9. 26. 인간 중심 심리치료의 역사 칼 로저스는 1902년에 시카고 교외 오크 공원에서 태어났는데, 5남 1녀 중 넷째였다. 로저스는 부모님이 다정하고 애정 어린 분들이었고 자녀의 행동을 통제했다고 기술했다. 부모님 두 분 다 종교적으로 근본주의자였기 때문에 자녀들은 춤과 알코올, 카드놀이, 극장은 가까이해서는 안 되는 금기사항이라고 배웠다. 로저스가 12세 되던 해에 잘 나가던 토목기사이자 도급업자였던 아버지는 시카고 남부에 있는 농장으로 가족의 거처를 옮겼다. 로저스는 청소년기 삶의 대부분을 혼자 하는 활동을 하면서 보냈다. 중고등학교를 세 번이나 옮겨 다녔고, 다니는 하교마다 장거리 통학을 했기 때문에, 방과 후 활동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는 모험 이야기와 농업 관련 저술을 읽는 데 대부분 시간을 보냈다. 여름이면 들판에서 농기구를 .. 2022. 9. 24. 이전 1 2 3 4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