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8

자기의 출현, 개성화 자기의 상징 자기의 이미지들은 다양하다. 그중 일부는 꿈이나 환상으로 보여주는 이미지들이고, 다른 이미지들은 세계와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을 하면서 나타난다. 원, 정사각형, 별 모양 등의 기하학적 구조는 여기저기, 그리고 자주 나타나는 것이다. 자기의 다른 이미지는 다이아몬드와 사파이어 같은 보석들인데, 이들은 가치가 높고 희귀하다. 자기를 상징하는 동물 이미지도 있다. 자기는 대극을 포함하고 역설적인, 초도덕적인 특성을 가진다. 자기가 표상되는 형태는 자기에 대한 그 사람의 의식이 취하는 태도의 영향을 받는다. 의식적 태도가 변하면 자기 상징의 특성도 변하는 것이다. 정신의 중심적 신비로서의 자기 통일성과 전일성은 융에게 최상의 가치를 지녔으며 자기가 융의 개인 신화를 형성했다는 사실은 그의 저작을 통.. 2022. 9. 12.
정신의 초월적 중심과 전일성 성과 관계들 융은 인간의 성에는 발정으로 긴장을 해소하거나 쾌락을 추구하는 동물을 훨씬 넘어서는 면이 있다고 보았다. 정신에도 매혹하는 요소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요소들이 생물학적 활동과 구별될 때 이미지가 나타난다. 이 이미지는 정신 스펙트럼에서 원형적 끝에 있는 정신적 실체이다. 이 이미지는 성적 본능과 깊이 맺어져 있으므로, 이렇게 성적 본능과 이미지가 결합할 때 아니마/무스는 물리적 추동력을 가지게 된다. 전형적으로 아니무스는 지성적인 사람들이나 테너 가서, 예술가, 유명 스포츠 선수 등 온갖 종류의 영웅들에게 투사하기 좋아한다. 아니마는 여성성에서 무의식적이고 어둡고 애매하고 연결성이 떨어지는 모든 면과 또한 허영, 냉담, 무기력에 특별히 경도되어 끌리는 경향이 있다. 나약하고 무기력한 여성에 .. 2022. 9. 12.
젠더와 아니마, 아니무스 젠더, 그리고 아니마와 아니무스 융은 모든 인간이 같은 원형을 공유한다고 했지만, 남성이 한쪽을 여성이 다른 쪽을 별개로 갖는다고 말하고 있다. 이런 구별을 원하지 않았다면, 융은 양성을 나타내는 데 특별한 구분을 두지 않고 같은 용어를 사용했을 것이다. 아니면 `아니미(animi)` 같은 중성적 용어를 만들었을 것이다. 융에 따르면 남성은 외부에 남성성을 드러내고 내부에 여성성을 드러내며 여성은 이와 반대다. 아니마의 보완적 특성은 의심할 나위 없이 자신 스스로 증명한 대로 성적 특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매우 여성적인 여성은 남성적 영혼을 갖고, 매우 남성적인 여성은 여성적 영혼을 갖는다. "보통 의식적 태도에는 빠져 있는 모든 인간의 공통적 특질이 아니마에는 존재한다." 위 구절을 얘기할 때는 융이 .. 2022. 9. 11.
심층의 내부에 이르는 길 6장 심층의 내부에 이르는 길(아니마와 아니무스) 통상적으로 남성에게 아니마는 여성적 인물이고 여성에게 아니무스라는 내적 인물은 남성적이다. 아니마와 아니무스는 그림자보다 더 깊은 무의식을 표상하는 주관적 인격들이다. 좋든 나쁘든 그들은 영혼의 특성들을 드러내고 집단 무의식의 영역으로 진입한다. 아니마/무스는 페르소나가 반영하는 자기 표상과 자기 정체성을 일치시키지 않는 정신 내부의 한 성격이다. 하지만 그림자가 하는 방식으로 자아에 속하진 않는다. 만일 페르소나와 그림자를 구분하는 게 `악에 대한 `선의 측면이라면 자아와 아니마/무스의 구분은 남성성과 여성성의 양극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정의 융은 후기 저작에서 아니마와 아니무스를 정신의 원형적 인물들로 언급한다. 그래서 아니마와 아.. 2022. 9. 11.